맨위로가기

헤르메스주의 문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메스주의 문헌은 고대 후기부터 이집트에서 성립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문헌들을 포괄하며, 스승과 제자의 대화 형식을 띠는 경우가 많다. 주요 내용으로는 연금술, 마법, 철학적 사상 등이 있으며, 특히 11세기 동로마 제국에서 편집된 "헤르메스 선집"이 중심을 이룬다. 이 문헌들은 점성술, 태양 숭배, 영지주의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고대 이집트 기원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헤르메스주의 문헌은 기술적 헤르메스주의 문헌과 종교-철학적 헤르메스주의 문헌으로 나뉘며, 점성술, 연금술, 마법, 철학적 인간학, 우주론 등을 다루는 다양한 종류의 문헌들이 존재한다. 이슬람 세계에도 큰 영향을 미쳐, 점성술, 연금술,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헤르메스주의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도서 - 솔로몬의 소열쇠
    《솔로몬의 소열쇠》는 솔로몬 왕의 마법 기술을 담은 중세 마법서로, 악마 소환, 천공의 정령, 별의 마술, 투시, 정신적 능력 향상 등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판본으로 출판되어 여러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마도서 - 솔로몬의 열쇠
    솔로몬의 열쇠는 르네상스 시대 그리모어로, 술사가 귀신과 악마를 소환하고 제어하는 방법과 여러 마법적 행위를 다루며, 카발라와 무슬림 마법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번역본과 사본이 존재한다.
  • 나그함마디 문서 - 국가 (플라톤)
    플라톤의 『국가』는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생산자, 수호자, 철인 통치자로 구성된 삼분된 계급 사회를 제시하며, 철학자 왕의 통치를 통해 정의를 실현하는 방안을 탐구한다.
  • 나그함마디 문서 - 빌립 복음서
    빌립 복음서는 콥트어로 기록된 영지주의 기독교 문서로,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의 특별한 관계를 묘사하며, 3세기에 작성되어 격언, 계명, 논고 등을 담고 있으며, 성사, 결혼의 신성함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고 있다.
  • 고대 이집트 문학 - 나르메르 팔레트
    나르메르 팔레트는 나르메르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의식용 방패 모양 팔레트로, 양면에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합 등 다양한 도상이 묘사되어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가치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대중 문화와 학계에서 활용된다.
  • 고대 이집트 문학 - 서신서
    서신서는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에서 교리나 주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신약성경의 서신은 바울로 서신과 공동 서신으로 나뉘어 기독교 신학 및 윤리의 근본 텍스트로 여겨진다.
헤르메스주의 문헌
개요
제목헤르메스 문서
다른 이름헤르메티카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Corpus Hermeticum)
종류철학 및 종교 문헌
언어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콥트어
아랍어
시리아어
히브리어
저작 시기 및 장소
시기기원후 1세기 ~ 3세기
장소이집트
내용
주제철학
종교
연금술
점성술
마법
주요 사상일자 (一者, The All)
유출설 (Emanationism)
상응 (Correspondence)
거시우주와 미시우주 (Macrocosm and Microcosm)
인간의 신성 (Divinity of Man)
영혼 불멸 (Immortality of the Soul)
윤회 (Reincarnation)
구원 (Salvation)
신과의 합일 (Union with God)
주요 문서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Corpus Hermeticum)18편의 논문 모음
아스클레피우스 (Asclepius)라틴어 대화록
키발리온 (Kybalion)헤르메스주의의 7가지 원리 요약
에메랄드 타블렛 (Emerald Tablet)연금술의 기본 원리 요약
기타나가함마디 문서 중 일부
죽은 바다 두루마리 중 일부
영향
영향을 준 사상고대 이집트 종교
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
그노시스주의
유대교 카발라
기독교
이슬람
영향을 받은 사상르네상스 시대의 철학 및 예술
장미십자회
프리메이슨
신지학
뉴에이지
관련 인물
주요 인물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관련 인물이암블리코스
마르실리오 피치노
조르다노 브루노
아이작 뉴턴

2. 문헌의 성격

헤르메스주의 문헌은 대부분 스승이 제자를 가르쳐 깨우침을 얻게 하는 대화 형식으로, 고대 후기 문헌들에서 자주 사용된 형식이다. 연금술, 마법, 철학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99][100] 이집트의 예언, 신에 대한 찬가, 신화 등과 유사성이 있지만, 특히 "아버지"(스승)가 "아들"(제자)에게 조언하는 형식의 이집트 지혜서와 가장 유사하다.[101]

기원전 3세기에 성립된 점성술을 포함하며, 기원후 3세기까지 신플라톤주의영지주의의 영향을 받아 이집트에서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점성술, 태양 숭배, 피타고라스 등의 요소를 포함하여 내용이 복잡하며, "일자"로부터 만물이 유출된다는 신플라톤주의적 사상과 신을 인식하는 것이 구원이라는 영지주의적 사상도 보인다.

11세기 동로마 제국에서 17권으로 편집된 "헤르메스 선집"이 중심이며, 르네상스기에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 인용된 『아스클레피오스』는 라틴어로 번역되어 중세 서유럽에 알려졌으며, 나그 함마디 문서에도 헤르메스 문헌의 일부가 포함되었다.

시바타 유는 "헤르메스 문헌"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했다.

분류내용
철학·종교적인 작품"헤르메스 선집", 아스클레피오스 등
점성술 작품(원문에 구체적인 내용 언급 없음)
연금술 작품(원문에 구체적인 내용 언급 없음)
마술 작품(원문에 구체적인 내용 언급 없음)


2. 1. 성립 연대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문헌들의 성립 연대를 정확히 밝히는 것은 어려우며, 여러 가지 다른 의견이 존재한다. 현대 학자들은 대체로 이 문헌들이 기원후 1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편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문헌들은 다양한 철학 및 사상의 혼합주의 또는 절충주의의 산물로 평가된다.[102]

토트와 한 제자의 대화로 구성된, 전형적인 헤르메스주의 문헌 형식으로 이루어진 상당한 분량의 절(節)이 들어 있는, 후기 이집트어(Late Egyptian)에 속한 민중문자(c.660-c.450 BC 동안 사용)로 된 파피루스들이 존재한다.[104] 일부 학자들은 민중문자로 된 이들 헤르메스주의 문헌들과 플라톤주의신플라톤주의 철학 간의 유사성은 플라톤과 그의 계승자들의 철학 원천이 이집트 철학과 사상에 있다는 주장이 사실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107][108]

헤르메스주의 문헌에는 기원전 3세기에 성립된 점성술 등의 내용도 포함되어 있지만, 기원후 3세기 무렵까지 신플라톤주의영지주의 등의 영향을 받아 이집트에서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복잡하며, 점성술, 태양 숭배, 피타고라스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일자"로부터 만물이 유출된다는 신플라톤주의적 사상이나, 신을 인식하는 것이 구원이라는 영지주의적 사상도 나타난다.

"헤르메스 문헌"은 11세기 무렵 동로마 제국에서 17권의 문서로 편집된 "'''헤르메스 선집'''"이 중심이며, 르네상스기에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도 인용된 『아스클레피오스』는 라틴어로 번역되어 중세 서유럽에서 알려져 있었다. 나그 함마디 문서에도 "헤르메스 문헌"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시바타 유는 "헤르메스 문헌"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했다.

분류내용
철학·종교적인 작품"헤르메스 선집", 아스클레피오스 등
점성술 작품해당 분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원문에 언급되지 않음.
연금술 작품해당 분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원문에 언급되지 않음.
마술 작품해당 분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원문에 언급되지 않음.


2. 1. 1. 고대 이집트 기원설과 비판

르네상스 시대에는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문헌들이 파라오가 통치하던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한 것으로 믿었다. 그러나 서양 고전 학자인 아이작 카조봉(Isaac Casaubon: 1559-1614)은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문헌들 중 주로 철학을 다루는 일부 문헌에서 사용된 어휘가 최근의 것이므로 고대 이집트 시대의 것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82] 다른 저자들도 ''헤르메티카''에 대해 비슷한 비판을 가했는데, 이는 주로 헤르메티카에서 영감을 얻은 당시의 다양한 종교 및 비전 운동을 약화시키기 위한 수단이었다. 세기 말까지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를 태고의 지혜의 근원으로 여기는 것을 중단했다.[83]

최근 연구에서는 이전보다 고대 이집트 문화와의 더 큰 연속성을 시사한다.[89]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장피에르 마에는 나그 함마디에서 최근 출판된 ''헤르메티카''와 함께 ''헤르메스 트리메기스투스가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내린 정의''를 분석했다.[90] 마에는 초기 그리스 헤르메스 저작들이 이집트 예언과 신들에 대한 찬가와 많은 유사성을 가지며, 이집트의 지혜 문학과 밀접하게 비교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는데, 이는 (초기 그리스 ''헤르메티카''와 마찬가지로) "아버지"가 "아들"에게 주는 조언의 형태로 특징적으로 표현되었다.[91] 그 직후, 가스 포든은 철학적 ''헤르메티카''와 기술적 ''헤르메티카''가 뚜렷하지만 상호 의존적이며, 둘 다 그리스와 이집트 문화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의 산물이라고 주장했다.[92] 리차드 자스노와 카를 테오도어 자우지히는 ''헤르메티카''와 유사한 형식으로 쓰여진, 토트와 제자 간의 대화 상당 부분을 포함하는 데모틱(후기 이집트어) 텍스트 단편을 확인했다. 이 텍스트는 주요 이집트 사원과 밀접하게 관련된 "생명의 집" 서기관들 사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93][94] 크리스티안 불은 2018년에 ''헤르메티카''가 실제로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와 로마 시대 후기에 이집트 사제들이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청중에게 그리스 철학적 용어로 그들의 전통을 제시하면서 쓰여졌다고 주장했다.[95]

2. 1. 2. 현대 연구

현대의 학자들은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의 문헌들이 기원후 1세기와 3세기 사이에 편집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 문헌들이 여러 철학 또는 사상의 혼합주의 또는 절충주의의 산물이라고 평가한다.[102]

르네상스 시대에는 이 문헌들이 파라오가 통치하던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한 것으로 믿었으나, 서양 고전 학자인 아이작 카조봉(Isaac Casaubon: 1559-1614)은 일부 문헌에서 사용된 어휘가 최근의 것이므로 고대 이집트 시대의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현대 연구에 따르면,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문헌들의 최종 성립 연대는 혼합주의가 활발했던 로마 이집트(Roman Egypt: 30 BC–641 AD) 시대이며,[103] 파라오 통치 시기 고대 이집트의 문화적 요소가 이전보다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103] 이집트학 학자인 윌리엄 피트리(Sir William Flinders Petrie: 1853-1942)는 헤르메스 문헌들 중 일부는 페르시아 제국 시대인 기원전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했다.[105][106]

3. 주요 문헌 종류

헤르메스주의 문헌은 크게 기술적 헤르메스주의 문헌과 종교-철학적 헤르메스주의 문헌으로 나뉜다.[99]



"헤르메스 문헌"은 11세기 무렵까지 동로마 제국에서 17권의 문서로 편집된 "'''헤르메스 선집'''"이 중심이다 (중세 서유럽에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르네상스기에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되었다). 헤르메스의 저작으로 여겨지는 『아스클레피오스』는 라틴어로 번역되어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도 인용되었기 때문에, 중세 서유럽에서 알려져 있었다. 20세기에 발견된 나그 함마디 문서에도 "헤르메스 문헌"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시바타 유는 "헤르메스 문헌"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하였다.

3. 1. 기술적 헤르메스주의 문헌 (Technical Hermetica)

기술적 헤르메스주의 문헌은 점성술, 연금술, 마법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99]

3. 1. 1. 점성술 (Astrological Hermetica)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텍스트는 기원전 2세기 또는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여러 점성술 작품이다.[11]

  • '''살메스코이니아카'''("영향의 방황")는 기원전 2세기 또는 3세기에 알렉산드리아에서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별의 배치에 대해 다룬다.[11]
  • '''네콥소스-페토시리스 텍스트'''는 기원전 2세기에 작성된 여러 익명의 작품으로, 이집트 왕 네코 2세(기원전 610–595년)와 그의 전설적인 사제 페토세(텍스트에서는 페토시리스라고 언급)에게 거짓으로 귀속되었다. 이 텍스트는 단편만 남아 있으며, 전달하는 점성술 지식을 헤르메스의 권위에 기인한다.[12]
  • '''유독서의 기술'''은 2세기경의 파피루스에 보존된 천문학 논문으로, 헤르메스를 권위자로 언급한다.[13]
  • '''리베르 헤르메티스'''("헤르메스의 책")는 데칸(황도대를 36개 부분으로 나눈 독특한 이집트 시스템)의 이름을 설명하는 점성술에 관한 중요한 작품이다. 이 책은 초기(4세기 또는 5세기) 라틴어 번역본으로만 남아 있지만,[14] 기원전 2세기 또는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15]


점성술에 관한 다른 초기 그리스 헤르메스 작품은 다음과 같다.

  • '''브론톨로기온''' : 다양한 달의 천둥 효과에 대한 논문.[16]
  • '''페리 세이스몬'''("지진에 관하여"): 지진과 점성술 징후의 관계에 대한 논문.[17]
  • '''아스클레피오스의 책, 미리오제네시스라고 불리는 책''' : 점성술 의학에 대한 논문.[18]
  • '''헤르메스가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보내는 성서''' : 다양한 식물과 데칸의 관계를 설명하는 점성술 식물학에 대한 논문.[19]
  • '''15개의 별, 돌, 식물 및 이미지''' : 별이 광물과 식물의 약학적 힘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점성술 광물학 및 식물학에 대한 논문.[20]

3. 1. 2. 연금술 (Alchemical Hermetica)

기원전 1세기부터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게 귀속된 많은 그리스어 연금술 작품들이 있었다.[21] 이 작품들은 현재 모두 유실되었지만, 2세기와 3세기에 걸쳐 제작된 후기 연금술 작품에서 보존된 다수의 단편들은 남아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이집트 연금술사 파노폴리스의 조시모스(fl. c. 300 CE)가 이 단편들을 사용한 것이며, 그는 종교-철학적인 ''헤르메티카''에도 익숙했던 것으로 보인다.[21]

중세 아랍어 자료에서 헤르메스의 이름은 연금술과 더욱 확고하게 연관되었는데, 이들이 이전의 그리스 문헌을 어느 정도까지 참고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22] 오늘날까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게 귀속되는 많은 아랍어 작품들이 존재하지만, 이들 중 대다수는 아직 현대 학자들에 의해 출판되거나 연구되지 않았다.[26]

알려진 작품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불완전):

  • '''시르 알-할리카 와-사낫 알-타비아'''("창조의 비밀과 자연의 기술", ''키타브 알-일랄''("원인의 책")이라고도 불림): 자연 철학에 대한 백과사전적 저술이다. 8세기 말 또는 9세기 초에 아랍어로 편집되었지만,[32] (훨씬) 더 오래된 그리스어 및/또는 시리아어 자료에 기초했을 가능성이 높다.[33] 이 책에는 금속의 황-수은 이론(금속은 과 수은의 다양한 비율로 구성된다)의 가장 초기의 알려진 버전이 포함되어 있으며,[34] 이는 18세기까지 모든 금속 구성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35] 12세기에 우고 데 산타야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되었다.[37]
  • '''에메랄드 타블렛''': ''시르 알-할리카 와-사낫 알-타비아''(8세기 말 또는 9세기 초)에서 처음 증명된 간결하고 수수께끼 같은 텍스트이다.[38] 12세기와 13세기에 여러 번 라틴어로 번역되었으며,[40] 중세 및 초기 근대 연금술사들은 이 책을 그들의 기술의 기초로 널리 간주했다.[41]
  • '''리살라트 알-시르'''("비밀의 서한"): 10세기 파티마 왕조 이집트에서 쓰여진 아랍 연금술 논문이다.[43]
  • '''리살라트 알-팔라키야 알-쿠브라'''("구체의 위대한 논문"): 10세기 또는 11세기에 쓰여진 아랍 연금술 논문이다.[44]
  • '''키타브 다키라트 알-이스칸다르'''("알렉산더의 보물"): 연금술, 부적 및 특정 속성에 관한 저작으로, 헤르메스를 궁극적인 출처로 인용하고 있다.[45]
  • '''리베르 헤르메티스 데 알케미아'''("연금술에 관한 헤르메스의 책", ''리베르 다베시'' 또는 ''리베르 레비스''라고도 불림): ''에메랄드 타블렛''에 대한 주석 모음집이다. 아랍어에서 번역되었으며 라틴어로만 존재한다.[46]

3. 1. 3. 마법 (Magical Hermetica)

키라니데스는 헤르메스를 정기적으로 출처로 인용하는 치유 마법에 관한 작품으로, 광물, 식물, 동물의 마법적 힘과 치유 속성을 다룬다.[23] 키라니데스는 아랍어와 라틴어로 독립적으로 번역되었다.[24]

14세기 아랍어 필사본 ''키라니데스''


''키라니데스''는 그리스어로 쓰여진 치유 마법에 관한 저작으로, 광물, 식물, 동물의 마법적 힘과 치유력에 대해 다루며 헤르메스를 자주 출처로 인용한다. 이 저작은 9세기에 아랍어로 번역되었지만, 이 번역본에서는 헤르메스에 대한 모든 언급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54]

3. 2. 종교-철학적 헤르메스주의 문헌 (Religio-philosophical Hermetica)

종교-철학적 헤르메스주의 문헌은 헬레니즘 시대 초기에 쓰이기 시작하여 중세 시대까지 이어졌지만, 현존하는 문헌은 대개 서기 100년에서 300년 사이의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제작되었다.[57] 이 문헌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와 그의 제자 타트, 아스클레피오스, 암몬 사이의 대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철학적 철학적 인간학, 우주론, 철학적 신학을 다룬다.[58]

대부분의 헤르메스주의 문헌은 스승이 제자를 가르쳐 깨우침을 얻게 하는 형식인 대화체로 되어 있다. 이는 고대 후기의 문헌들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형식이다. 헤르메스주의 문헌에서 다루는 주제는 그 범위가 광범위하다. 어떤 문헌들은 연금술·마법 및 이들과 관련된 내용들을 다룬다.[99] 어떤 문헌들은 종종 나스티시즘과 신플라톤주의와 비견되는 철학적 사상을 담고 있는데, 그러나 이 경우에도 이들 서로 간에는 유사점 보다는 차이점이 더 뚜렷하다.[100] 이집트의 예언들, 신에게 바치는 찬가들 또는 신화들과 헤르메스주의 문헌 간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다. 하지만, 그 성격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는 "아버지"(또는 스승)가 "아들"(또는 제자)에게 조언을 할 때의 말투로 표현된 이집트의 지혜서들이라 할 수 있다.[101]

헤르메스주의 문헌에는 기원전 3세기에 성립된 점성술 등의 부분도 포함되어 있지만, 기원후 3세기 무렵까지 신플라톤주의영지주의 등의 영향을 받아 이집트에서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내용은 복잡하며, 점성술·태양 숭배·피타고라스 등의 요소를 받아들였다. 그 외에도, "일자"로부터 만물의 유출 (신플라톤주의적)이나, 신을 인식하는 것이 구원이다 (영지주의적) 등의 사상도 보인다.

이 범주에 속하는 모든 알려진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헤르메스 선집 (Corpus Hermeticum)'''
  • '''아스클레피오스 (Asclepius)'''
  •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보내는 정의'''
  • '''요안네스 스토배우스'''의 ''선집''에 포함된 헤르메스 발췌본
  • '''나그 함마디 문서'''에서 발견된 콥트어 논문
  • '''옥스퍼드 헤르메티카'''
  • '''비엔나 헤르메티카'''
  • '''''Kitāb fi zajr al-nafs'''''("영혼의 책망")


요안네스 스토배우스는 5세기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에서 아들 셉티미우스를 교육하기 위해 그리스 문헌들을 엮은 ''선집''을 편찬했는데, 여기에는 헤르메스에게 귀속된 상당수의 담론과 대화도 포함되어 있었다.[70] 다음은 스토배우스의 ''선집''에 포함된 헤르메스 발췌본의 목록이다.

제목
1.1.29a신은 존재하는 것들의 장인이며 섭리의 설계를 통해 우주를 관통한다
1.3.52오류의 처벌자이자 신과 함께 인간의 지상 행위를 감독하는 정의에 관하여
1.4.7b, 1.4.8(신성한) 필연성에 관하여, 신이 계획한 일들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이유
1.5.14, 1.5.16, 1.5.20운명과 사건의 질서 정연함에 관하여
1.8.41시간의 본질과 구분, 그리고 그 인과의 범위에 관하여
1.11.2물질에 관하여
1.21.9우주에 관하여: 영혼이 있는지, 섭리에 의해 관리되는지, 지배 능력의 위치, 그리고 영양의 근원에 관하여
1.41.1, 1.41.4, 1.41.6, 1.41.7, 1.41.8, 1.41.11본질과 그 파생된 원인에 관하여
1.42.7부모와 조상으로부터 어떻게 닮음이 전달되는가
1.49.3, 1.49.4, 1.49.5, 1.49.6, 1.49.44 (Korē Kosmou|코레 코스무grc 발췌문), 1.49.45, 1.49.46, 1.49.47영혼에 관하여
2.1.26신성한 문제의 해석자와 지각 가능한 실체의 본질에 대한 진실이 어떻게 인간에게 이해할 수 없는지에 관하여
2.8.31우리 안에 있는 것에 관하여 (자유 의지)
3.11.31진실에 관하여
3.13.65담대한 연설에 관하여


3. 2. 1. 헤르메스 선집 (Corpus Hermeticum)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즉 '헤르메스 선집'은 고대 그리스 논문 17개를 모아 놓은 것이다. 이 문헌들은 비잔틴 편집자들이 처음 편집했으며, 15세기에 마르실리오 피치노(1433–1499)와 로도비코 라차렐리(1447–1500)가 라틴어로 번역했다.[59] 피치노는 처음 14개 논문(I–XIV)을 번역했고, 라차렐리는 나머지 3개(XVI–XVIII)를 번역했다.[60] 이 선집의 이름은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는데, 현존하는 헤르메스 텍스트 중 매우 적은 부분만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corpus'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어떤 저자나 주제와 관련된 현존하는 모든 저작물을 위해 사용된다. 개별 논문들은 2세기와 3세기부터 많은 초기 저자들에 의해 인용되었지만, 그 자체로서의 편집은 비잔틴 철학의 미카엘 프셀로스(c. 1017–1078)의 저작에서 처음 증명되었다.[61]

이 편집본에 포함된 논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포이만드레스''라고 불리는 서두 논문이다. 그러나 적어도 19세기까지 이 이름(Pimander 또는 Pymander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은 전체 편집본을 지칭하는 데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62]

1462년 피치노는 그의 후원자 코시모 데 메디치를 위해 플라톤의 저작들을 라틴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지만, ''헤르메스 총서''의 필사본이 입수되자마자 플라톤의 저작 번역을 중단하고 헤르메스의 저작 번역을 시작했는데, 헤르메스의 저작이 플라톤의 저작보다 훨씬 더 오래되고 권위 있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63] 이 번역은 르네상스 인문주의 발전에 중요한 자극을 제공하여 근대 초 유럽에서 연금술과 르네상스 마법의 번성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피치노의 제자인 피코 델라 미란돌라(1463–1494), 조르다노 브루노(1548–1600), 프란체스코 파트리치(1529–1597), 로버트 플러드(1574–1637) 등 철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64]

마르실리오 피치노가 번역한 ''헤르메스 총서''의 첫 번째 라틴어 판, 1471 CE


"헤르메스 문헌"은 11세기 무렵까지 동로마 제국에서 17권의 문서로 편집된 "'''헤르메스 선집'''"이 중심이다. 이것은 중세 서유럽에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르네상스기에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되었다.

3. 2. 2. 아스클레피오스 (Asclepius)

''아스클레피오스(Asclepius)''는 주로 라틴어 번역본으로 전해지며, 일부 콥트어 단편도 남아 있다.[65] 이 문서는 중세 시대 라틴어 독자들에게 제공된 유일한 종교-철학적 헤르메스주의 문서이다.[66]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도 인용되었기 때문에, 중세 서유럽에서 알려져 있었다.

3. 2. 3. 기타 문헌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보내는 정의는 아르메니아어로 번역되어 보존된 격언 모음집으로, 아마도 1세기 경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67] 장 피에르 마헤에 따르면, 이 격언들은 후기 그리스 종교 철학적 '헤르메티카'에서 발견되는 가르침의 핵심을 담고 있다.[68]

5세기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의 요안네스 스토배우스는 아들 셉티미우스를 교육하기 위해 그리스 문헌들을 엮은 ''선집''을 편찬했는데, 여기에는 헤르메스에게 귀속된 상당수의 담론과 대화도 포함되어 있다.[70] 스토배우스 발췌본 중 가장 유명하고 가장 긴 것은 '''''코레 코스무'''''("우주의 딸" 또는 "우주의 [눈] 동자")이다.[71]

스토배우스의 ''선집''에 포함된 헤르메스 발췌본은 다음과 같다:[72]

제목
1.1.29a신은 존재하는 것들의 장인이며 섭리의 설계를 통해 우주를 관통한다
1.3.52오류의 처벌자이자 신과 함께 인간의 지상 행위를 감독하는 정의에 관하여
1.4.7b, 1.4.8(신성한) 필연성에 관하여, 신이 계획한 일들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이유
1.5.14, 1.5.16, 1.5.20운명과 사건의 질서 정연함에 관하여
1.8.41시간의 본질과 구분, 그리고 그 인과의 범위에 관하여
1.11.2물질에 관하여
1.21.9우주에 관하여: 영혼이 있는지, 섭리에 의해 관리되는지, 지배 능력의 위치, 그리고 영양의 근원에 관하여
1.41.1, 1.41.4, 1.41.6, 1.41.7, 1.41.8, 1.41.11본질과 그 파생된 원인에 관하여
1.42.7부모와 조상으로부터 어떻게 닮음이 전달되는가
1.49.3, 1.49.4, 1.49.5, 1.49.6, 1.49.44 (Korē Kosmougrc 발췌문), 1.49.45, 1.49.46, 1.49.47영혼에 관하여
2.1.26신성한 문제의 해석자와 지각 가능한 실체의 본질에 대한 진실이 어떻게 인간에게 이해할 수 없는지에 관하여
2.8.31우리 안에 있는 것에 관하여 (자유 의지)
3.11.31진실에 관하여
3.13.65담대한 연설에 관하여



1945년 이집트 북부 나그 함마디에서 발견된 콥트어 논문들 중에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게 귀속된 세 개의 논문도 있다.[73] 이들은 아스클레피오스(VI,8)의 일부 조각, 부기(VI,7a)가 첨부된 '''''감사의 기도'''''(VI,7),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에 대한 담론'''''(VI,6)이다.[74]

'''옥스퍼드 헤르메티카'''는 다른 작품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헤르메스주의 작품에서 가져온 여러 짧은 단편들로 구성되어 있다. 옥스퍼드의 보들리안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영혼, 감각, 법, 심리학, 발생학에 대해 다룬다.[76]

'''비엔나 헤르메티카'''는 한때 열 편의 헤르메스주의 논문집이었던 것에서 가져온 네 개의 짧은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엔나에 소장되어 있는 두 개의 파피루스에 보존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에너지에 관하여''라고 불렸다.[77]

아랍어로 작성된 '''''Kitāb fi zajr al-nafs'''''("영혼의 책망")는 종교-철학적 저술 범주에 속하는 몇 안 되는 후기 헤르메스주의 논문 중 하나이다.[78]

헤르메스주의 문헌에는 점성술 등의 부분도 포함되어 있지만, 3세기 무렵까지 신플라톤주의영지주의 등의 영향을 받아 이집트에서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내용은 복잡하며, 점성술·태양 숭배·피타고라스 등의 요소를 받아들였다. 그 외에도, "일자"로부터 만물의 유출 (신플라톤주의적)이나, 신을 인식하는 것이 구원이다 (영지주의적) 등의 사상도 보인다.

4. 영지주의와의 비교

헤르메스주의영지주의는 신화, 플라톤 철학, 성경 등 공통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지만, 전자는 세계에 대해 긍정적인(Pro-cosmic) 반면 후자는 세계에 대해 부정적(Anti-cosmic)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세계의 창조주에 대한 부정을 포함하는 영지주의는 정통 기독교와 양립할 수 없는 반면, 헤르메스주의는 반드시 기독교와 모순되는 것은 아니다.[79]

예를 들어, 이탈리아 시에나 대성당모자이크에는 "모세의 동시대인 헤르메스 메르쿠리우스 트리메기스투스"가 그려져 있다.[79]

5. 이슬람권에 미친 영향

헤르메스 선집의 첫 번째 문서인 "포이만드레스"는 영지주의적인 문헌으로 유명하며, 아랍어로 번역되어 이슬람 세계의 수피즘에서도 언급되는 문서이다.[79] 무슬림에게 헤르메스는 예언자 에녹과 동일시되며, 꾸란에서는 예언자 이드리스로 여겨진다.[79]

6. 서구에 미친 영향

1460년 코시모 데 메디치동로마 제국에서 사본을 입수하여 르네상스 시대에 서유럽에 알려지게 되었다. 인문주의자 마르실리오 피치노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했다.(Corpus Hermeticum) 헤르메스주의라고 총칭되는 헤르메스 문서의 사상은 기독교 이전의 지혜로 여겨졌으며, 기독교 입장에서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마술 사상의 책으로도 여겨졌다.

헤르메스주의는 지동설을 주장한 코페르니쿠스, 신학자이자 생리학자인 세르베투스(삼위일체설을 부정하여 이단으로 여겨짐), 천문학자 케플러, 자기에 의한 인력론을 주장한 길버트, 미적분을 개발한 라이프니츠, 과학자 뉴턴 등에게도 널리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81]

7. 한국에 미친 영향 (한국 위키백과 특화)

헤르메스주의 문헌은 직접적으로 한국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서구의 헤르메스주의 전통은 르네상스 시대 이후 유럽의 사상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다시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서구 사상의 유입과 함께 한국 사회에 영향을 주었다.

헤르메스주의는 연금술, 점성술, 마법 등과 관련된 신비주의적 전통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한국의 전통적인 민간 신앙이나 도교, 무속 신앙 등과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헤르메스주의 사상은 한국의 전통 사상 및 종교와 비교 연구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7] 서적
[8]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0] 서적
[11]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6] 서적
[17]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5] 서적
[26]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3] 서적
[34] 서적
[34] 서적
[35]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The Divine Pymander of Hermes Mercurius Trismegistus London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간행물 Copenhaver, 1992, p=xxxviii; cf. Bull, 2018, pp=101–111
[72] 간행물 As listed by Litwa, 2018
[73] 간행물 Robinson, 1990, pp=12–13
[74] 간행물 Copenhaver, 1992, p=xliv. These were all translated by James Brashler, Peter A. Dirkse and Douglas M. Parrott in: Robinson, 1990, pp=321–338. Edition and French translation in Mahé, 2019, German translation in Gall, 2021
[75] 간행물 Roig Lanzillotta, 2021
[76] 간행물 Paramelle, Mahé, 1991 (reprint with French translation in Mahé, 2019). English translation in Litwa, 2018, pp=161–169
[77] 간행물 Mahé, 1984. English translation in Litwa, 2018, pp=171–174
[78] 간행물 Van Bladel, 2009, p=226. Edited by Bardenhewer, 1873 and by Badawi, 1955, pp=53–116; English translation of Bardenhewer's Latin translation in Scott, 1924–1936, loc=vol. IV, pp. 277-352
[79] 간행물 These are listed and translated by Litwa, 2018, pp=175–256 (Greek originals of the majority of Litwa's fragments in Nock, Festugière, 1945–1954, loc=vol. IV, pp. 101–150), except Ibn Umayl, whose Hermetic fragments have been collected and translated by Stapleton, Lewis, Taylor, 1949 (Arabic originals in Turāb ʿAlī, Stapleton, Hidāyat Ḥusain, 1933)
[80] 간행물 Collected and translated by Stapleton, Lewis, Taylor, 1949. Arabic originals in Turāb ʿAlī, Stapleton, Hidāyat Ḥusain, 1933
[81] 간행물 These are listed and translated by Litwa, 2018, pp=257–339
[82] 간행물 Copenhaver, 1992, p=l; Ebeling, 2007, p=92
[83] 간행물 Ebeling, 2007, pp=113–114
[84] 간행물 Bull, 2018, pp=4–6
[85] 간행물 Copenhaver, 1992, pp=liii–lv
[86] 간행물 Bull, 2018, pp=7–8
[87] 간행물 Pearson, 1981. See also the copious references in Bull, 2018, p=29, note 118
[88] 간행물 Kingsley, 1993, p=14 (reprinted, with additions and updates, in Kingsley, 2000)
[89] 간행물 Kingsley, 1993, p=1 (reprinted, with additions and updates, in Kingsley, 2000)
[90] 간행물 Bull, 2018, pp=9–10
[91] 간행물 Mahé, 1996, loc=358f
[92] 간행물 Fowden, 1986, pp=74, 153
[93] 간행물 Jasnow, Zauzich, 1998
[94] 간행물 Jasnow, Zauzich, 2014, pp=1, 47, 49
[95] 간행물 Bull, 2018, pp=456, 459
[96] 간행물 Van Bladel, 2009, pp=9–10, 17
[97] 문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헤르메스주의 문헌들 중의 하나는 《파피루스 빈도보넨시스 그라에카(Papyrus Vindobonensis Graeca)》 29456으로 기원후 2세기 말의 저작이다
[98] 논문 월터 스콧 (Walter Scott: 1854-1925, 영국 학자)의 《헤르메티카(Hermetica)》에 대한 조지 사튼(George Sarton)의 리뷰 속의 주석, 《Isis》 8.2 (1926년 5월:343-346) p. 345
[99] 문서 월터 스콧은 1924-25년에 자신의 저서《헤르메티카(Hermetica)》를 편찬할 때 마법 '''·''' 연금술 '''·''' 점성술 문헌을 "헛소리 또는 말도 안 되는 소리(rubbish)"라고 하여 제외시켰다. 조지 사튼은 《이시스(Isis)》에 게재한 월터 스콧의 《헤르메티카(Hermetica)》에 대한 리뷰에서 월터 스콧의 결정 자체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이들 문헌들이 "헛소리 또는 말도 안 되는 소리(rubbish)"라는 견해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100] 서적 Broek, Roelof Van Den. 《Gnosticism and Hermitism in Antiquity: Two Roads to Salvation》. In Broek, Roelof Van Den, and Wouter J. Hanegraaff. 1998. "Gnosis and Hermeticism From Antiquity to Modern Time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01] 논문 Jean-Pierre Mahé, 〈Preliminary Remarks on the Demotic "Book of Thoth" and the Greek Hermetica〉, 《Vigiliae Christianae》 50.4 (1996:353-363) p.358f
[102] 웹사이트 Secretum secretorum - An Overview of Magic in the Greco-Roman World http://www.granta.de[...] 2017-07-13
[103] 서적 The Egyptian Hermes :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late pagan mind Cambridge/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04] 논문 R. Jasnow and Karl-Th. Zausich, "A Book of Thoth?" (7차 국제 이집트학 학술대회(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Egyptologists)의 발표 논문: Cambridge, 3-9, 1995년 9월)
[105] 논문 "Historical References in the Hermetic writings," Transaction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History of Religions. Oxford I (1908) pp. 196-225
[106] 서적 "Personal Religion in Egypt before Christianity" Harpers 1909
[107] 서적 "Black Athena: The Afroasiatic Roots of Classical Civilization"
[108] 웹사이트 Martin Bernal's review of Mary Lefkowitz' "Not Out of Africa" http://bmcr.brynmawr[...] 1996
[109] 사전 허메틱 실 https://terms.naver.[...] 기계공학사전편집위원회 2010-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